오늘 학원에서 spring framework 환경설정을 하였다.
슬슬 학원 교육도 끝일 향해 가는것 같다.
그리고 집에와서 노트북으로 환결설정을 하는중
여기에 정리한다.
개발환경 : web
JDK 1.8 version 64bit
IDE: sts-3.9.11.RELEASE (Spring FrameWork)
Project : Spring Legacy(view template : jsp)
WAS server : tomcat 8.5project
1. sts 실행시 exit code= 13 에러
집에 설치해서 사용하던 jdk가 32bit 버전이였어서
sts를 실행했을때 exit code= 13 오류가 발생했엇다.
그래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던 32bit jdk를 지우고
jdk 1.8 version 64bit를 다시 설치하였다.
2. sts 실행하면 기본으로 존재하는 내장 서버를 삭제하였다
수업을 Spring Legacy 로 진행 하는데 Spring Legacy 는 서버를 설치해야한다.
spring boot는 따로 하지않고 내장된 was를 사용한다고 한다.
우리는 WAS server : tomcat 8.5project을 사용하기로 하였기 때문에
삭제하고 새로 설정을 하였다
2-1. 내장서버 삭제
2-2 apache tomcat 8.5server add
Apache TOMCAT 8.5 server를 add 한다
2-3. tomcat 8.5가 깔린 디렉토리를 설정한다
2-4. apache tomcat 8.5server add 완료.
3. 이제 Spring Legacy (view template : jsp) 를 프로젝트에 import해야한다
3-1. project explore에서 import - general - existing project into workspace를 눌러서 진행한다
3.2 .legay 프로젝트까지 import 완료
3.3 build tool로는 maven을 사용하는데. java 1.6으로 되어있는걸 1.8로 바꿔주어야 한다
*maven은 .xml확장자를 사용한다.
141 line의 버전 1.6을 1.8로 바꾸고
project - maven - update 프로젝트를 하면 버전변경 완료
4.0 되는지 한번 실행해 보자 !
homecontroller.java에서 run on server을 클릭하여 실행하자
4.2 잘 실행되는것을 볼 수 있다
후기
새로운 ide인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환경을 설정을 하였다
학원에서 배울때는 더 쉽게 하였는데
집에서 개발환경을 설정하니 막히는 부분이 있엇지만
검색을 통해서 알아내고
잘 해낸듯 하다
설치하는 프로그램의 bit를 잘 확인해야 실행하는데 문제가 없는듯 하다
'Spring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젝트]3. 프로젝트를 위한 개발환경 설정(MySQL 기본설정) (0) | 2024.11.16 |
---|---|
[프로젝트]2. 프로젝트를 위한 개발환경 설정(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생성 및 MySql 설치) (2) | 2024.11.16 |
[프로젝트]1. 프로젝트를 위한 개발환경 설정(개발언어 및 ide설치) (1) | 2024.11.16 |
웹 개발과 기본 통신 개념 1028 (0) | 2024.10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