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[국비 12일차]javascript, 간단한 if , switch 조건문 -2 !!

kkzzznn 2024. 7. 16. 20:07
/*
 *       if()
 *       else if()
 *       ...
 *       else
 */
// score
let score = Math.ceil(Math.random() * 60) + 40; // 41 ~100 사이의 정수
let grade = "";

if (score >= 90) grade = "A";
else if (score >= 80) grade = "B";
else if (score >= 70) grade = "C";
else if (score >= 60) grade = "D";
else grade = "F";

console.log(`점수: ${score}, 학점: ${grade}`);

// FizzBuzz
// 숫자가 5로 나누어지면 Fizz, 7로 나누어지면 Buzz, 5와 7 둘다로 나누어지면 FizzBuzz
// 위의 경우가 아니면 숫자를 출력;

let FizzBuzz = "";

if (score % 5 == 0 && score % 7 == 0) FizzBuzz = "Fizzbuzz";
// if (score % 35 == 0)
// console.log()
else if (score % 5 == 0) FizzBuzz = "Fizz";
else if (score % 7 == 0) FizzBuzz = "Buzz";
else FizzBuzz = "none";

console.log(`FizzBuzz: ${FizzBuzz}`);

 

처음에 score를  41 ~ 100까지의 랜덤 정수로 설정하고

if (socre >= 90) grade ="A";

// 스코어가 90과 같거나 더크면 grade "A"점을 주라는거다.

아래는 다 똑같고

else 그러니까 59점 이하는 grade = "F"

 

console.log(로 나타내주고)

 

아래는 fizzbuzz 인데

일단 5와 7 둘다로 나누어 지면 fizzbuzz가 나타나게

if (score % 5 == 0 && score % 7 == 0) FizzBuzz = "Fizzbuzz";

5로 나누어 지면 fizz

else if (score % 5 == 0) FizzBuzz = "Fizz";

 

7로 나누어 지면 buzz

else if (score % 7 == 0) FizzBuzz = "Buzz";

 

나머지는 none으로 나타나게 했다.

RUN ====== >  점수: 45, 학점: F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FizzBuzz: Fizz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// 여러개 값 중에 하나를 선택;
let score = Math.ceil(Math.random() * 50) + 50; // 51 ~100 사이의 정수;
let grade = "";

switch (
  parseInt(score / 10) // score 값은 5, 6, 7, 8, 9, 10으로 변환됨
) {
  case 10:

  case 9:
    grade = "A";
    break; // break는 switch 문을 벗어나게 해줌
  case 8:
    grade = "B";
    break;
  case 7:
    grade = "C";
    break;
  case 6:
    grade = "D";
    break;
  default:
    grade = "F";
}
console.log(`점수: ${score}, 학점: ${grade}`);

일단 Math random과 ceil로 51 ~ 100 사이의 정수를 생성

 

 

* parseInt(score / 10): score 값을 10으로 나눈 후 parseInt()를 사용하여 정수로 변환. 예를 들어, score가 95이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parseInt(95 / 10)은 9가 된다.

 

* switch문은 이 정수 값을 기준으로 케이스를 평가한다.

* case 10: 및 case 9:: score가 90 이상인 경우 "A" 학점을 할당하고 break로 switch문을 종료한다.

아래는 똑같다.

case 8이면 B를 할당하고 break로 switch 문을 종료.

 

 

* default:: 위의 모든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(즉, score가 60 미만인 경우) "F" 학점을 할당한다.

 

run ===== > 점수: 99, 학점: A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삼항 연산자


let dice = Math.ceil(Math.random() * 6); // 1~ 6 사이의 값;
let result = "";

if (dice % 2 == 0) result = "짝수";
else result = "홀수";
console.log(`${dice} 은/는 ${result}입니다.`);

let evenOdd = dice % 2 == 0 ? "짝수" : "홀수"; //*조건식 ? 참일때의 값 : 거짓일떄의 값*
console.log(`${dice} 은/는 ${evenOdd}입니다.`);

let smallbig = dice > 3 ? "큰수" : "작은수";
console.log(`${dice} 은/는 ${smallbig}입니다.`);

 

 

let evenOdd = dice % 2 == 0 ? "짝수" : "홀수"; //*조건식 ? 참일때의 값 : 거짓일떄의 값*]

 dice % 2 ==0 ? "짝수" : "홀수" // dice를 2로 나눈 나머지가 0 이면  ? "짝수"  else "홀수"

 

let smallbig = dice > 3 ? "큰수" : "작은수";

dice 가 3보다 크면 ? "큰수" : else "작은수"

 

run =====> 3 은/는 홀수입니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3 은/는 작은수입니다.